NGINX Nginx는 트래픽이 많은 웹사이트를 위해 확장성을 위해 설계한 비동기 이벤트 기반 구조의 웹서버이다. 기존에는 거의 Apache를 웹서버로 사용했다. Apache는 다양한 기능과 서드파티 확장 기능 등 어떠한 웹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할 수 있는 웹서버였지만 클라이언트 접속 당 CPU와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함으로써 확장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대량의 클라 인터를 관리하기 위한 웹서버가 필요시 되었고, 그래서 나온 것이 nginx였다. nginx는 event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apache와 같이 각각의 웹페이지 요청을 처리 가히 위해 새로운 process or thread를 생성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일 서버에서도 수만 개의 동시 연결을 처리할 수 있다. 현재..
톰켓 세션 동작원리 Cookie 사용자 하드웨어에 저장되는 텍스트이다. 클라이언트가 웹서버에 접근하면 요청한 response로 웹페이지를 전송하면서 쿠키정보도 보내줌. 세션 HTTP프로토콜은 비접속형 프로토콜, 매 접속마다 새로운 네트웤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래서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를 기억하기위해 세션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개발할때 세션을 이용해서 사용자의 로그인정보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로그인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블릿 컨테이너인 tomcat이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야한다. login페이지를 들어가게되면 HTTP 헤더 response 정보를 보게되면 JSESSIONID값이 톰켓에서 발급되는 쿠키정보를 볼수 있습니다. 톰켓은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지..
- Total
- Today
- Yesterday
- aws
- Quasar
- batch
- OAuth
- Chache
- vue
- eslint
- Collection
- JPA
- Github
- Linux
- https
- Angular
- kotlin
- network
- Infra
- OS
- jenkins #mac방화벽
- #linux
- Spring
- javascript
- Gradle
- IntelliJ
- Jenkins
- HMAC
- SSH
- java
- tob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