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관리 및 파일에 대한 사용자 권한 관리 사용자 관리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다. 즉 한대에 리눅스에 사용자 여러명이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root라는 이름을 가진슈퍼 유저가 있다. root는 모든 시스템 권한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도 있다. 그런데 사용자는 혼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소속되어야 한다.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여 /etc/passwd를 열어보면 리눅스에 등록된 유저 목록을 볼 수 있다. root:x:0:0:/root:/bin/bash bin:x:1:1:bin:/bin:/sbin/nologin ... centos:x:1000:1000:centos:/home/centos:/bin/bash..
AWS EC2 생성 및 서버 접속하기 이 글에서는 AWS EC2를 생성하고 서버에 접속하기까지 과정을 다루어보겠습니다. EC2란 ? 아마존 일래스틱 컴퓨트 클라우드(Amazon Elastic Compute Cloud)는 아마존닷컴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아마존 웹 서비스의 중앙부를 이루며, 사용자가 가상 컴퓨터를 임대 받아 그 위에 자신만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EC2 인스터스 생성하기 AWS에서는 서버를 인스턴스라고 합니다. 서버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인스턴스를 실행해야 합니다. micro version은 현재 무료로 생성 가능합니다. 예제에서는 mircor 서버를 생성할 것입니다. 먼저 AWS 아이드를 만들고 위와 같이 서비스를 누르면 EC2가 나옵니다. 해당 태그를 클릭합니..
- Total
- Today
- Yesterday
- Linux
- batch
- Github
- Chache
- aws
- IntelliJ
- #linux
- Quasar
- Spring
- kotlin
- network
- eslint
- OS
- javascript
- vue
- JPA
- Jenkins
- HMAC
- Gradle
- Angular
- OAuth
- tobi
- Infra
- Collection
- https
- jenkins #mac방화벽
- SSH
- jav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